컴퓨터이야기/Linux2008. 9. 11. 11:52

리눅스 각 디렉토리 설명

bin : 필수적인 리눅스 실행파일이 있는 곳(ls, rm 등)

boot : 부팅 관련 파일, 커널이 있는 곳

dev : 설치된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곳

etc : 많은 중요한 파일들이 있는 곳(패스워드 파일, 쉐도우 파일, 대부분 리눅스 설정파일 등)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가 있는 곳

lib : 라이브러리 파일이 있는 곳

mnt : mount 명령을 사용하여 마운트 시킨 시디롬, 플로피디스켓 등이 들어가는 곳

proc : 프로세스들이 파일형태로 저장되는 곳

root : 루트의 홈 디렉토리(일반사용자는 /home 아래 존재)

sbin : 기본명령은 제외한 시스템 관리용 실행 파일들이 있는 곳

tmp :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권한에 상관없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디렉토리

usr :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는 곳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생성되는 각종 임시파일이 있는 곳(외부 접속에 대한 로그 파일이 저장 되는 곳)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Linux2008. 9. 11. 10:44

리눅스 history 지우기 명령, 삭제 Clear 방법

리눅스의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입력했던 명령어들을 상하 화살표키만 누르면 다시 볼수있고 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입력했던 명령어들은 자동으로 파일(.bash_history)로 저장되기때문에 리부팅 후에도 history 의 내용은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 삭제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c" 라는 옵션을 붙여서

history -c

이렇게 실행하면 히스토리 목록이 지워집니다.

그러나 바로 ".bash_history" 의 내용이 삭제되지는 않고 로그아웃후 다시 로그인해야 파일의 내용도 완전히 지워집니다.




".bash_history" 라는 파일은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그리고

profile 파일에서 HISTSIZE= ??? 를 조정하면 저장되는 라인의 수를 설정할수있습니다.

Linux는 기본 1000 Line 입니다.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22. 02:20

인터넷 속도 측정 화면의 이해

인터넷 속도측정 화면을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 속도 측정은 사용자 PC와 품질측정 서버간에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일반적인 실제 인터넷 사용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다.

1. Dowmload test (서버에서 PC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측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품질 측정 서버와 사용자 PC간의 실제 data를 주고 받은 playload를 속도단위로 환산하여 보여준다. 빨간색 선은 테스트 중 300ms 평균속도를 나타내며, 파란색 선은 누적 평균 속도를 보여준다. 총 측정 시간은 약 10초이며 10초가 총 전송된 data의량을 측정하여 속도를 표시한다.

2. Upload test (PC에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 측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품질 측정 서버와 사용자 PC간의 실제 data를 주고 받은 playload를 속도단위로 환산하여 보여준다.  빨간색 선은 테스트 중 0.03초간 평균속도를 나타내며, 파란색 선은 누적 평균 속도를 보여준다. 총 측정 시간은 약 10초이며 10초간 총 전송된 data의 량을 측정하여 속도를 표시한다.

3. General ping te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Playload 60Byte의 ICMP ping 패킷을 50 packets/sec로 200회 전송하여 패킷 왕복 응답시간과 손실된 패킷에 대한 손실율을 측정한다. 파란 색 선은 응답시간을 표시하여 주며, 빨간색 수직선은 손실된 패킷을 표시하여 준다. (당연히 여기에서 빨간색선이 춤을 춘다면 인터넷이 이상있는거다)

4. Network game & VOIP tes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타크래프트나 다이얼 패드와 같은 인터넷 어프리케이션들은 주로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런한 인터넷 사용을 에물레이션하여 Playload 80Byte 의 패킷을
50 packets/sec으로 200회 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표시한다.
파란색 선은 응답시간을 표시하여 주며, 빨간색 수직선은 손실된 패킷을 표시하여 준다.

5. Bandwidth Gaug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 평균]은 테스트 이전 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자신의 결과와 다른 사용자를 결과의 지난 한달간의 평균속도를 표시하여 줍니다. 이 값을 현재 자신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볼 수 있다.
 
 
아래는 인터넷 속도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3. 15:56

컴퓨터 사양 보는 법 (AIDA32 다운로드)

컴퓨터 초보분들이 컴퓨터 고수분들과 이야기할때 참 난감할때가
바로 이럴때 일겁니다.
컴퓨터 사양이 어떻게 되요??라는 질문을 받을때...

사양?? 그냥 와우가 잘되는정도...
그냥 쓸만해요.. 라고흐지부지 해버리는 경우가 많죠..

이젠 정확히 자신의 사양을 알고 자신있게 대답해보자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작->설정->제어판에 들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을 더블클릭하면 바로 사양이 나옵니다.
윈도우의 정보와 컴퓨터의 CPU, RAM의 사양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의 내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후 속성에 들어가도 시스템창으로 바로 갈수있습니다.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렉트X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작->실행에서 dxdiag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첫화면에 바로 컴퓨터의 사양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그래픽카드에 관한 사항이군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더욱더 자세하게 알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사양을 보는 프로그램은 참 여러가지가 있으나
그중 프리웨어이면서 간단히 사용할수있는 프로그램으로는
AIDA32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AIDA32다운받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AIDA32의 메인화면입니다.

마더보드 항목에서는 CPU, 메인보드 칩셋 또는 모델 명, 램(종류), BIOS를 알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항목에서는 그래픽카드 제품 명과 칩셋, 모니터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멀티미디어 항목에서는 사운드카드 칩셋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 항목에서는 FDD의 유무와 하드디스크, CD롬 드라이브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3. 15:48

[MSN] 메신저 삭제하기

이번 팁은 지난번 MSN친구 삭제에서 충격받은 알로제를 비롯한 많은 두리꾼님들을 위한 팁입니다
네?? 그때 충격이 뭐냐구요??
10명의 친구중 9명을 삭제해야했던
[MSN]나를 삭제한 대화상대 찾아내기 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암튼 암울한 이야기는 접어두고 알로제는 그 충격에 MSN을 삭제하고자 합니다..
자 한번 따라와보시죠
따라올테면 따라와봐~~메가흠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작->설정->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창이 하나 뜨면 Windows 구성요소 추가 / 제거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 다른 창이 하나 뜨는데 아래쪽으로 내리다보면
윈도우 메신저 가 활성화되어있는게 보이십니다
체크를 해지하시구요 다음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거가 완료되면 마침을 누르라고 친절히 설명해줍니다^^ 착한지고~~
암튼 이제 MSN의 아픈 과거는 뒤로 두고 안녕~~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3. 15:42

[MSN] 나를 삭제한 대화상대 찾아내기

요즘엔 네이트온이 메신저 시장을 장악해버렸지만 아직도 점유율 40%이상을 차지하는 MSN
알로제도 네이트온전에는 MSN으로 전국친구들과 이야기꽃을 피우곤했는데요
잠깐 인터넷과 동떨어진 생활을 하던터에 네이트온이 점령하는바람에 MSN을 자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문득 들어가보게 되었는데
왜 다들 오프라인상태인건지...
그런데 진짜 오프라인 상태인지 나를 대화상대에서 지워버린 상대인지 확인해보고싶은것입니다..흠냐흠냐

한번 확인하러 가보시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구에서 옵션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옵션 > 프라이버시 탭을 선택합니다
대화상대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보도록 하죠
'삭제(D)' 부분이 활성화 되어 삭제가 가능하면 상대편이 이미 나를 삭제해 버린 경우입니다
이때는 나도 과감히 삭제해 버려야하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약에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다면 '나를 삭제하지 않았고,
나의 온라인 상태 확인 및 나에게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하며
이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선택한 대화상대를 '차단된 대화 상대'로 옮기시면 됩니다.



우울한 이야기입니다만 알로제는 총 10명의 등록된 친구중 9명을 삭제하고 말았습니다.
젠장..

이젠 아마 MSN 들어올일이 거의 없을것 같네요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Linux2008. 8. 12. 12:12

MX레코드값 변경하기

현재 네임서버를 직접 운용중이면서
메일 호스팅 서비스를 받기위해서
즉 외부의 메일서버를 연결시키기위해선 해당 도메인의 zone파일을 수정해야한다

도메인의 Zone file 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을 한다.
@ IN SOA 서버정보
(
2004012601 ;Serial <-- 시리얼 번호를 현재 숫자보다 크게 변경
10800 ;Refresh
3600 ;Retry
3600000 ;Expire
36000 ;Minimum
)
;
IN MX 10 mail.도메인. <-- 이 부분이 MX 레코드가 지정되는 부분.
                            "mail.도메인." 으로 입력(도메인 뒤에 . 을 잊지말것!!)

; host information
localhost IN A 127.0.0.1
www IN A xxx.xxx.xxx.xxx
mail IN A xxx.xxx.xxx.xxx메일서버IP 를 입력




zone파일 수정후
네임서버 한번 리로드 한번 해주시고
확인해보자

#nslookup
>set q=mx
>도메인명

으로 확인

*초보를 위한 팁!!
nslookup 명령수행후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명령어 exit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32

[레지스트리] 시작페이지 고정하기

지나간 강의중 시작페이지 변경하기가 있었습니다.
변경되어버린 시작페이지를 다시 내가 원하는 페이지로 변경하는 팁이였다면
지금 알려드리는 팁은 시작페이지를 고정시켜서 변경이 안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함꼐 따라해보시죠


1. 시작=>실행에서 'regedit' 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시킵니다.

2.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 으로
   찾아간 후 Start_Page를 더블 클릭하여 자신이 원하는 시작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3.  왼쪽창 Main 키(폴더)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사용 권한(P)" 선택하고
  자기가 쓰고있는 윈도우 계정을 선택한 후 밑에 "고급" 누르시고 "편집" 을 눌러서
  "값 설정"=>"거부" 에 체크합니다.

4.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tExplorer/Main에서
  SpeedStart 와 Start_Page 의 값을 더블클릭한뒤
 1.과 똑같은 주소를 입력합니다.

5. 3에서와 마찬가지로 Main 에서 사용권한을 똑같이 값 설정 거부를 합니다.
6.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재부팅하면 됩니다.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32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 윈도우 테마변경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세 번째시간은

윈도우 테마변경입니다.

윈도우 테마는 XP가 맨처음 나왔을 때 윈도우를 화려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가장 관심을 모았던 기능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시스템에 주는 부담은 크다는거 이젠 잘알고계시죠?
바탕화면에서 테마가 차지하는 메모리량이 가장 크답니다.
어차피 못생긴 윈도우를 선택한 지금 XP테마도 필요없습니다.
고전테마(98테마)로 변경해보겠습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창이 나타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마탭에서 XP테마를 윈도우 고전으로 변경하고 적용을 누르시면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꾸고나면 바탕화면이 98에서 보던 이상한 푸른색이 나옵니다. 영~~이상하죠??
게다가 색깔이 있는 경우 시작할 때 색깔을 불러와야 하기에 아주 약간이지만 딜레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검정색으로 바꿔보도록하겠습니다.

바탕화면 탭으로 이동후 우측 하단의 색을 클릭하고 검은색이나 흰색으로 바꿔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는 검정색으로 바꿔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든 설정을 완료하고 난후 제 바탕화면입니다.
완전 검죠?? 배경그림하나 올려놓으면 좋겠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29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 아이콘 줄이기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두 번째시간은

아이콘 줄이기입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고 또 그러다보니
각 프로그램별마다 각자 단축아이콘을 바탕화면에 설치하게됩니다.
그리고 이 아이콘들이 편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콘들은 시작 ->프로그램에 가면 똑같은게 다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바탕화면에 단축아이콘이 많이있다면 PC성능도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윈도우를 부팅할 때 아이콘들을 모두 메모리에 로딩해야하기에 부팅속도까지 내려가게됩니다.

어차피 시작메뉴에 있는 단축아이콘들 다 삭제합니다.

그런데 '내 컴퓨터', '휴지통','네트워크환경' 같은 기본적인 아이콘들은 삭제가 안되는군요..
지금 이시간 저와 함께 삭제해버리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창이 나타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 탭에서 '바탕화면 사용자 지정'버튼을 눌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탕화면 항목에서 아이콘 옆의 체크표시를 해제하고 확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이러면 기본적인 아이콘들도 다 삭제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삭제가 되면 아무것도 없어지죠
배경그림을 띄워도 중간중간 아이콘 때문에 구멍날일없이 환하게 잘보입니다.

그런데 사용하기가 약간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항상 사용하던 내문서가 안보이니 그럴수밖에요..
여기서 몇가지 팁!!

내 컴퓨터나 내 문서는 윈도우키 + M자를 누르면 윈도우 탐색기가 나타납니다.
휴지통은 윈도우 탐색기에서 찾으실수 있구요
그리고 익스플로어는 시작메뉴 옆 빠른 실행에서 사용하시면됩니다
.

윈도우를 빠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고생도 감수해야한답니다.^^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22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 윈도우 XP의 시각효과 지우기

바탕화면을 정리하자 첫 번째시간

바로 윈도우 XP의 시각효과 지우기입니다.


윈도우XP는 윈도우 창을 실행을 시키면
스르륵 미끄러지듯이 열리거나 사라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바탕화면 아이콘이 투명이 되거나  
메뉴아래에 그림자가 생기는등 여러 가지 시각효과가 있습니다.
참 보기 좋죠..

하지만!!
시스템 성능면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는거~
이쁘기는 하지만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는거~

밑줄 쫙!! 돼지꼬리 땡땡


그러면 시각효과를 없애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버튼->제어판을 통해 시스템으로 들어갑니다.
(바탕화면 내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으로 들어가도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 등록정보창이 열리면 고급탭->성능항목에서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능옵션창이 또 하나 열리게됩니다.
시각효과 탭에서 '최적성능으로 조정'을 체크하시고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대신에 적용버튼을 누르시면 바로 바뀌는걸 알수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각효과에서 몇가지만 없애고자 할 때는
사용자 지정을 누르시고 없애고자 하는 효과를 클릭하여 설정해제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20

[윈도우] 버전알아보기

친구들과 컴퓨터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보면
윈도우 이야기가 거론될때가 있죠..
이럴때 가장 많은 이야기가 이거죠
나는 윈도우 XP SP1 이니 나는 2000SP4이니 뭐니..
과연 나의 윈도우의 버전은 어떤걸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 쉽습니다.
[시작]->[실행]을 누르시고 'winver' 명령어를 치고 엔터를 치면 끝

이러한 창이 뜨죠..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로제의 컴퓨터의 버전입니다.
XP의 버전이 숫자로는 5.1인거 같네요... Service Pack2가 깔려있구요^^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18

[윈도우] 속도빠르게 하기 - 시각효과 조정

윈도우를 조금이나마 빠르게 쓸 수 있는 것
바로 모든 사람들의 꿈일것입니다.
대신 좀더 예쁜 윈도우를 포기해야한다는 사실!!

알로제는 좀 예쁜 윈도우를 포기하고 조금은 빠른 윈도우를 선택하려고합니다.
자 같이 해보시죠~

바탕화면의 아이콘의 그림자효과나
창을 열고닫을 때의 애니메이션 효과 등은
윈도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입니다.

이러한 효과들을 업애도록 하겠습니다.

바탕화면의 [내컴퓨터]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하고
맨 아래 속성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 등록정보]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고급]탭을 클릭하고
가운데 [성능]항목의 [설정]을 클릭합니다.

[성능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시각효과]탭에서 빨간 박스 로 체크해놓은
[최적 성능으로 조정]을 선택하면
윈도우 모양이 윈도우98처럼 바뀌게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 조금이나마 윈도우의 속도가 빨라졌을겁니다.
시각 효과는 윈도우 사용에 영향을 끼치진 않습니다~


다시 예전처럼 돌아가기위해서는
[최적 모양으로 조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컴퓨터이야기/Windows2008. 8. 11. 17:13

아이콘에 단축키 지정하기

이번 시간에는 알로제가 잘 사용하는 기능을 하나 알려드립죠!!
아이콘에 단축키를 지정하는 기능이지요
보통 네이트온을 켤 때 어떻게 하시나요??
바탕화면에서??
아니면 시작버튼을 눌러서??
아니면 윈도우 시작시 자동실행으로??

알로제는 [Ctrl]+[Alt]+[N]를 눌러서 실행을 시킨답니다.

음악을 좋아하는 알로제에겐 알송도 필수 유틸이지요..
역시 알송도 단축키를 지정하여 [Ctrl]+[Alt]+[N]로 실행시키지요...

방법은 이러합니다.

먼저 단축키를 만들 아이콘을 선택한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속성]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등록정보 대화 상자가 나타나죠??

바로가기탭에서 바로가기 키선택란에 마우스를 클릭하고 단축키로 사용할 키를 누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는 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Ctrl]+[Alt]+ 조합이라든가
*F2 ~ F12 까지의 Function키(F1키는 도움말키로서 사용할 수 없답니다^^)
*숫자키 0~9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바로가기키 란에 단축키를 눌렀으면 확인을 눌러 단축키로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세요^^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

[윈도우][곰플레이어] 연결프로그램 변경하기

알로제는 동영상 재생프로그램으로 곰플레이어를 애용합니다.
예전엔 KM플레이어를 사랑했는데 요즘 각종 코덱이 나오기에 곰을 사랑해주기로했죠..ㅋ

앗!! 그런데 곰을 깔고나서 윈도우 업데이트 도중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10을 깔았더니
그때부터 동영상들이 미디어 플레이어로만 재생이 되버리네요..
ㅠㅠ 저는 곰플레이어가 좋은데..

자 저를 따라오셔서 연결프로그램을 변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알로제의 윈도우 화면입니다.
동영상들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동영상 파일을 마우스로 딱잡고 마우스 오른쪽으로 지긋이 눌러줍니다.
창이 하나뜨죠?? 연결프로그램이란 놈이 가운데에 있습니다.
그놈을 잠깐 눌렀더니 맨 아래쪽에 프로그램선택란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결프로그램이라는 창이 하나 떴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빨간 박스(이 종류의 파일을 열 때 항상 선택된 프로그램 사용) 이놈아를 클릭하시고
앞으로  동영상을 재생하실 프로그램(알로제는 곰플레이어)를 선택하신담에
확인을 눌러주시면 끝입니다.!!!

간단합니다~~

다른 에디트 프로그램이나 사운드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 등등
다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그러고보니 동영상 파일들의 종류가 한두가지가 아니죠...
방금은 WMV만 바꿨는데 MPG도 있고 AVI도 있고...음...
이 많은 것들을 어떻게 바꾼다???

곰플레이어 에 들어가셔서 환경설정에서
모든 동영상을 곰플로 재생할 수 있도록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곰 플레이어 입니다..ㅋ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눌러주고 환경설정으로 들어갑니다 단축키 F5키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환경설정 창이 뜨면 연결탭으로 가서 모두선택을 클릭하면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젠 동영상 연결 프로그램이 곰플레이어로 되어있습니다^^





===================================================================================

본 강좌는 필자(ILOJE)가 직접 작성한 강좌들로서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드림오브아이티 카페에 공개된적이 있는 강좌들입니다.
===================================================================================
Posted by iloje